오픈AI가 새롭게 출시한 챗GPT의 ‘네이티브’ 이미지 생성 기능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예상보다 높은 트래픽 부담으로 인해 무료 출시 일정이 연기됐다. 이는 최근 온라인에서 급속도로 확산된 ‘지브리 스타일’ 밈 열풍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오픈AI CEO, 트래픽 급증으로 출시 연기 발표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27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의 무료 사용자 대상 출시가 당분간 연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인기가 많다”라며, “우리는 꽤 높은 기대를 했지만, 이번 반응은 그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결정은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출시되자마자 사용자들이 특정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을 집중적으로 시도하면서, 예상보다 빠르게 서버 부담이 가중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특히, 지브리 스타일로 만들어진 이미지들이 SNS에서 빠르게 확산되며, 오픈AI의 트래픽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브리 스타일’ 밈 확산의 배경은?
이 같은 현상의 배경에는 오픈AI 내부에서 공개한 지브리 스타일의 이미지가 있다. 샘 알트먼 CEO가 오픈AI 직원들의 얼굴을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한 이미지를 X에 게시했고, 이를 본 사용자들이 앞다투어 같은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은 이러한 이미지들이 오픈AI의 AI 모델이 지브리의 허락 없이 학습한 결과물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며, 조롱 섞인 밈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AI로 생성된 지브리 스타일 캐릭터와 함께 오픈AI를 풍자하는 문구들이 삽입된 이미지가 쏟아졌고, 이는 더욱 빠르게 확산되면서 일종의 밈 문화로 자리 잡았다.
AI 이미지 생성 기능의 기대와 우려
이번 사태는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뛰어난 수준에 도달했음을 방증하는 사례이기도 하다. 기존 AI 이미지 생성 기술에서는 어려웠던 고품질 타이포그래피(문자 삽입 기능)와 정교한 스타일 적용이 가능해지면서,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AI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저작권 문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AI가 특정 아티스트나 스튜디오의 스타일을 재현하는 것에 대해, 해당 창작자의 동의 없이 사용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번 ‘지브리 밈’ 사태 역시 이러한 문제의 연장선상에서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오픈AI, 무료 출시 일정 연기… 유료 사용자만 이용 가능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오픈AI는 무료 사용자 대상으로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하려던 계획을 잠정 연기했다. 현재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은 유료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고 있으며, 향후 점진적으로 출시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한편, 샘 알트먼 CEO도 이 밈 현상을 즐기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자신의 X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경하며, 유저들이 만들어낸 트렌드에 동참했다.
그러나 그의 X 게시물에는 최근 AI 저작권 이슈와 관련해 부정적인 반응도 증가하는 추세다. “2.5년 동안 모두가 나를 미워한다”라는 그의 발언은, AI 기술에 대한 반발과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으로의 전망
이번 ‘지브리 밈’ 사태는 AI 이미지 생성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오픈AI는 향후 AI 저작권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으며, AI 아트 생성 기술이 창작자의 권리와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현재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언제 무료 사용자들에게 제공될지는 아직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논란에도 불구하고, 챗GPT의 향상된 이미지 생성 기술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여전히 높은 상태다.
'AI(인공지능) > AI 소식(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업무에서 생성형 AI 활용: 앨라바마주의 혁신적인 도입 사례 (0) | 2025.03.31 |
---|---|
딥시크 열풍에 엔비디아 H20 GPU 품절 사태…중국 AI 시장 변화 (0) | 2025.03.31 |
2025년 AI 서비스 이용률 급증! 국민 60%가 AI 경험 (2) | 2025.03.31 |
구글, 차세대 AI '제미나이 2.5' 공개 – 오픈AI와 본격 경쟁 (2) | 2025.03.28 |
오픈AI, GPT-4o 네이티브 이미지 생성 기능 출시…구글과 본격 대결 (2)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