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2.5' 공개
구글이 AI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차세대 인공지능(AI) 추론 모델인 **'제미나이 2.5'**를 공개했습니다. 이번 모델은 멀티모달 추론 기능을 기반으로 더욱 지능적인 응답을 제공하며, 오픈AI와의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제미나이 2.5는 **'사고 모델(Thinking Models)'**로 설계되어 응답 전에 자체적으로 추론 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정확성과 성능을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과 강력한 코딩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제미나이 2.5의 핵심 기능
1. 확장된 컨텍스트 창
제미나이 2.5는 100만 토큰의 컨텍스트 창을 제공하며, 곧 200만 토큰까지 확장될 예정입니다. 이는 AI 모델이 더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하고, 보다 긴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멀티모달 지원
제미나이 2.5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코드 등의 멀티모달 입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문제를 보다 정교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도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3. AI 추론 능력 강화
구글은 앞으로 출시하는 모든 AI 모델에 추론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AI가 스스로 사고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능력이 강화되면서, 더욱 정밀한 답변과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미나이 2.5 vs 오픈AI – AI 성능 비교
최근 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구글 제미나이 2.5와 오픈AI의 최신 모델들이 여러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비교되고 있습니다.
주요 벤치마크 성능 비교
- LM아레나 리더보드 – 제미나이 2.5가 1위를 차지하며 강력한 성능을 입증
- AIME 2025 & GPQA – 수학 및 과학 관련 벤치마크에서 선두 유지
- Humanity’s Last Exam – 인류의 마지막 시험 평가에서 18.8% 정답률 기록 (오픈AI 'o3'의 **26.6%**에는 미치지 못함)
- 코딩 벤치마크 (Aider Polyglot) – 68.6% 성능으로 오픈AI, 앤트로픽, 딥시크의 주요 모델을 능가
- SWE-bench Verified –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 테스트에서 63.8% 기록 (오픈AI ‘o3-미니’와 딥시크 ‘R1’보다 우수)
경쟁 모델과 비교
제미나이 2.5는 AI 추론 및 코딩 성능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였지만, 오픈AI ‘o3’ 및 앤트로픽 ‘클로드 3.7 소네트’보다는 일부 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구글의 강력한 멀티모달 기술을 고려했을 때, AI 에이전트로서의 활용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 및 개발자를 위한 활용 가능성
1.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
제미나이 2.5는 기업이 업무를 자동화하고 데이터 분석을 최적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빅데이터 처리, 고객 서비스 자동화, AI 챗봇 개발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강력한 코딩 및 개발 지원
제미나이 2.5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코드 디버깅,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에이전트 코딩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기업 및 개발자들은 제미나이 2.5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개발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3. AI 연구 및 학습 보조
고급 AI 연구 및 교육 과정에서도 제미나이 2.5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자연어 처리(NLP), 이미지 인식, 데이터 분석 등의 다양한 AI 활용 분야에서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제미나이 2.5 사용 방법
제미나이 2.5는 구글 AI 스튜디오 및 월 20달러 유료 요금제 ‘제미나이 어드밴스드’ 구독자를 대상으로 우선 제공됩니다. 구글은 향후 다양한 AI 솔루션에 제미나이 2.5를 통합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보다 지능적인 AI 에이전트 시대를 열어갈 전망입니다.
결론 – AI 추론 모델의 미래
구글 제미나이 2.5는 AI가 단순한 질문 응답을 넘어 스스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I 모델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앞으로 더 발전된 AI 추론 모델이 등장할 것이며, 다양한 산업에서 AI의 활용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인공지능) > AI 소식(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업무에서 생성형 AI 활용: 앨라바마주의 혁신적인 도입 사례 (0) | 2025.03.31 |
---|---|
딥시크 열풍에 엔비디아 H20 GPU 품절 사태…중국 AI 시장 변화 (0) | 2025.03.31 |
2025년 AI 서비스 이용률 급증! 국민 60%가 AI 경험 (2) | 2025.03.31 |
오픈AI ‘네이티브’ 이미지 생성 기능, 지브리 밈 열풍 속 무료 출시 연기 (1) | 2025.03.28 |
오픈AI, GPT-4o 네이티브 이미지 생성 기능 출시…구글과 본격 대결 (2) | 2025.03.28 |